이데일리 "코인 사고, 은행 책임 안 묻겠다. 한 발 물러선 금융위",
문화일보 "9월 FIU 신고 못해도 ISMS 인증 땐 가상화폐 간 거래는 허용" 등
특금법 시행을 한 달여 앞둔 가운데, 이러한 온갖 추측성 기사들에 대해
금융위에서는 지속적으로 다음과 같이 보도 반박 자료를 내놓고 있습니다.
[보도반박]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의 개설과 관련하여, 은행의 면책에 대한 금융위의 입장은 변경된 바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. (이데일리 7.22일 자 보도에 대한 반박)
[보도반박] 기존 가상자산사업자가 계속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9.24일까지 예외없이 신고를 접수해야 합니다. (문화일보 7.29일자 보도에 대한 반박)
가능한 시나리오는
- 은행에서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발급 허용 및 연장
- 특금법 시행 일시 연장
- 원안대로 특금법 시행 후 원화 입출금 정지
정도일 텐데, 사실 "암호화폐는 투기성 자산으로 거래를 근절하는 것이 바람직"하다는 게 금융위원회의 지속적인 입장이었습니다.
이러한 상황에서 은행에 면책을 준다거나 하는 등의 유예 조치를 취할리는 없어 보입니다.
은행 또한 이러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 금융위의 입장을 잘 알고 있는 가운데
굳이 위험을 무릅써가며 계약을 허용 또는 연장해야 할 필요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을 것입니다.
따라서, 1번 시나리오는 가능성이 매우 낮아 보입니다.
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특금법 개정 움직임이 보인다는 기사들 또한 생산되고 있는데,
법률의 발의, 제정 및 개정 절차와 그 소요 기간을 고려해본다면
2번 시나리오 또한 특금법 시행일 전까지 실행되기엔 가능성이 현저히 낮습니다.
현실적으로 가능한 시나리오는 3번으로,
거래소의 운영은 유지되지만 원화 입출금이 정지되는 상황일 텐데,
이 경우 현금화 방법은 해외 거래소로 코인을 옮긴 후 외화로 인출 후 국내로 송금하는 방법만 남게 됩니다.
또는 아예 해외 거래소로 입출금을 정지할 수도 있겠습니다.
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은
- 국내 거래소의 갈라파고스화로 해외와의 시세 불일치로 인한 가격 폭등 및 폭락,
- 현금화를 도와준다는 명목으로 수수료를 챙기는 브로커 또는 P2P 서비스의 등장,
- 국내 거래소의 음성화 및 VPN/Tor 네트워크를 이용한 해외 거래소로의 접속,
- 해외 거래소로의 대량 자금 유출
등의 부작용이 속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지난 5월 중국에서 규제로 인해 대부분의 채굴자들이
운영을 중지하고 해외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과 유사하게,
한국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리라 보장할 수 없습니다.
따라서, 현 단계에서는 가상자산 시장에 투자를 단기적으로 접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
특금법 시행일인 9월 25일 이전까지 현금화를 해 상황을 관망하시거나,
장기적으로 접근하고 계신 분들은 개인 지갑이나 해외 거래소로 이전해 보관해두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.
'코인 > 코인 의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트코인(BTC)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겠다면 적립식으로 (0) | 2021.08.22 |
---|---|
이더리움(Ethereum) 채굴기 Antminer E9 출시 예정 및 향후 전망 (0) | 2021.08.22 |
업비트(Upbit) 8월 12일 부로 베이직(BASIC) 유의 종목 지정 해제. 투자는 절대 비추 (0) | 2021.08.14 |
한국 코인 거래소 거래량 급감 왜? (0) | 2021.08.06 |
가상자산을 통한 재산은닉 방지책 추가. 세금 안 내는 방법은? (0) | 2021.07.27 |